Cinema
-
청소년 나타 靑少年 那咤 Teenage Norcha; Rebel of the neon godCinema/China 2007. 3. 8. 09:21
2006-08-25 차이밍량蔡明亮 감독의 데뷔작 감독이 누군지도 모르고 본 영화.(처음에 그랬단 말이다. 한자로 된 크레딧이 잘 안 보이더라) 별 기대 없이 보다 보니까 끝나버렸다. norcha(나타)가 뭔지도 몰랐고, 얼떨떨하게 보다 보니 끝나 버렸다. 역류하는 하수관이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이다. 샤오강은 자신을 금쪽같이 여기는 엄마와 끔찍하게 생각하는 아버지와 같이 살고 있으며 뭔가 정신에 문제가 있는 놈이다. 결코 정상은 아닌 넘이다. 아체는 친구와 공중전화를 털고, 좀도둑질을 하며 아무 생각없이 살아가는 양아치이다. 아퀘는 전화데이트를 통하여 원조교제를 하며, 이 년 역시 크게 생각이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이들의 접합점은 아무 것도 없다. 우연히 아체가 샤오강 아버지의 택시를 스치듯 지나가면 부..
-
호남호녀 好男好女 Good men, good women 1995Cinema/China 2007. 3. 8. 09:17
2006-08-23 아칭이라는 여자배우의 삶과 그녀의 극중 배역인 챵비유의 일생을 교차하면서 대만의 역사를 그리고 있는 것 같다. 솔직히 말하면 후샤오시엔의 영화는 호흡이 너무 길다. 인내심 약한 내가 보기엔 조금 힘듦을 느꼈었다. 그러나 세번쯤 보고나서야 호흡이 길다고 느끼진 않는다. 이제 조금 이해가 간다고나 할까. 물론 허접하나마 영문자막을 한글로 바꾸면서 그 의미를 조금 더 알게 되었다는게 정확하리라. 이 영화는 아칭의 죽은 애인에 대한 그리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현재와 흑백으로 묘사되어지는 치앙비유, 청하오뚱 부부의 일대기의 과거가 절묘하게 교차되고 있다. 영화 속 영화의 제목인 "호남호녀"는 이 영화의 제목이기도 하다. 어느 정도 차별적이고 구분될 수도 있는 영화 구조이긴 한데 두개의 호남호녀..
-
하나 그리고 둘 一 一 Yi Yi :a one and a twoCinema/China 2007. 3. 8. 09:14
2006-08-03 edward yang楊德昌 이면을 본다는 것. 영화가 우리에게 주는 것은 삶을 두-세배로 풍부하게 보여줄수 있다 네가 볼 수 없는 뒷 모습을 보게 해준다는 거겠지.. 일단 두가지 맘에 안드는 두 장면만 짚고 넘어간다. 살인사건 보도에서의 그 엉망인 게임그래픽은 뭔가? 잘 보고 있다가 때려치울 뻔 했다. 그리고 작위적이고 어색하다고 느끼는 것과 의도적인 거라고 동시에 느끼는 것이 있는데 마지막 양양의 장례식 추도사이다. 그 외에는 거의 다 맘에 든다. 결혼식으로 시작해서 장례식으로, 그리고 또 다른 삶을 예측케 하면서 진행되어진다.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인생의 앞면만을 바라보는 우리에게 뒷모습도 있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그리고 그것이 영화의 역할이 아닐까 하는 은유적 표현이 느껴진다...
-
카페 뤼뮈에르 Cafe.LumiereCinema/China 2007. 3. 8. 07:44
2006-06-26 솔직히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봤다. 보고 나서도 아무 생각이 없다. ㅜㅜ 포스터는 너무 밝게 나온 듯하긴 하지만 맘에 든다.. 포스터의 분위기와 영화는 전혀 별개. 약간의 지루함, 오즈 야스지로(동경이야기만 한 번 본 기억이 있는 유명한 감독이란 정도만 안다) 기념 영화. 일상이 풍경이 되는 그곳 카페 뤼미에르. 글쎄. 일상이 풍경이 되면 뭔가 느껴야 하는데. 쩝. 영화 같지 않은 그냥 일상을 보았다. 이제 일상에서는 더 이상 감동을 받지 못하는 내가 되어버렸음을 느낀다. 일상- 평범한 삶의 아름다움을 언젠가부터 잃어버리고 있다는 느낌.
-
동년왕사 童年往事 A time to live, A time to die 1985Cinema/China 2007. 3. 8. 07:43
2006-07-27 후샤오시엔의 영화는 솔직히 지루하다. 그의 영화를 나는 몇 봤지만, 거의 기억하지를 못한다. 가장 최근에 본 카페뤼미에르가 기억나는 정도. 그 유명한 비정성시도 시놉시스 조차 잘 기억이 안 난다. 뤼미에르도 그렇지만 샤오시엔은 야스지로를 참 좋아하는 것 같다. 이 영화를 보면서 난 동경이야기가 왜 생각이 나는지 모르겠다. 그건 아마도 다다미로 이루어진 방 때문인가? (오즈의 영화도 마찬가지로 잘 기억이 안난다. 묻지마라) 영화는 이건 나의 어린시절의 추억이다라고 시작한다. 원제인 동 년 왕 사를 풀이 해 보면 어린시절에 생긴일정도로 풀이할 수 있으니 당연하다. 영어제목인 A time to live, a time to die는 삶의 사간과 죽음의 시간을 말함으로써, 인생을 의미한다고도 ..
-
가케무샤 影武者Kagemusha 1980Cinema/Japan 2007. 3. 7. 17:16
影武者그림자 무사로 번역될 수 있는 아키라의 칸느 그랑프리 수상작 엄청난 규모를 보여주는 것 같다. 제작이 코폴라와 루카스이기도 하니까 뭐. 일본의 전국시대의 군주들은 각각의 그림자 무사를 가지고 있다. 신겐, 노부나가, 이에야스로 삼분되어 있는 듯한 양상의 전국시대에 신겐은 더욱 카리스마 있는 위치에 있는 듯 하다. 신겐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닮은 도둑을 그림자무사로서 훈련을 시키게 되고, 신겐의 죽음이후 그 유언과 제장들의 의도로 도둑은 그림자 무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대략적인 줄거리는 위와 같다. 그림자무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의 정체성의 혼란, 신겐의 압도적인 존재감과 그를 위해 피흘리는 여러사람의 모습에서 조금씩 변해가게된다. 하지만 그 역할은 3년의 기한을 두고 있는 것이다. ..
-
7인의 사무라이 The Seven Samurai 七人の侍 Shichinin no samurai, 1954Cinema/Japan 2007. 3. 7. 17:14
2006-08-14 아키라의 작품 중 아마도 외국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작품이 아닐까 싶다. 원작을 보지 못했던 나도 말은 참 많이 들었으니 말이다. 억압받고, 착취당하고, 수탈당하는 민중은 나름대로 자구책을 강구한다. 배고픈 사무라이 즉 로닌(낭인-주인이 없는 사무라이를 낭인이라고 한다더라)을 고용하여 산적들에게서 스스로를 구하려고 한다. 사무라이란 전혀 생산성에 도움이 되지 않으면서도 계급상만 높은 묘한 위치의 인간들이다. 쓸데없는 자부심만 강하다고 해야 하나.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양반이란 위치와 비슷하다고 볼수 있을 것이다. 그들이 벌레도 못한 농민들에게 고용된다는 것은 계급과 계층의 역전 및 소멸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어렵게 구한 칠인의 사무라이는 당연히 특이한 개성을 가진 ..
-
라쇼몬 Rashomon 羅生門 1950Cinema/Japan 2007. 3. 7. 17:12
위키피디아의 라쇼몬 Kurosawa Akira 아키라의 작품은 이걸 두번째로 본다. 전에도 언급한 적이 있지만 일본의 내가 아는 거장들은 참 스타일이 많이 다르다. 아키라, 쇼헤이, 야스지로 몇작품 접해보지도 않은 채 이런 말 하는게 조금 우습긴 하지만 그게 사실이다. 천국과 지옥에서 처음 접한 아키라는 그 명성에 비해 많은 것을 느끼진 못했었다. 물론 재미있었고 좋은 작품이었다는 것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말이다. 그러나 거장이라 이름 붙을 수 있는 감독들은 한작품으로 평가되는 것이 아니란 것을 한작품 씩 이렇게 접할때마다 느끼는 것 같다. 쇼헤이가 그랬고, 아키라가 그렇다. 라쇼몬, 사무라이 영화인 것 같다는 느낌만 받고 보게 되었다. 구로자와 작품을 보지도 않은 채 그냥 사무라이 전문, 사극 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