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맨츄리안 켄디데이트 The Manchurian Candidate, 2004
    Cinema/U.S.A 2007. 7. 29. 12: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Link


    1959년 Richard Condon의 소설 The Manturian Candidate를 원작으로 하고 있으며, 1962년의 동명영화 The Manchurian Candidate(1962)imdb의 Remake작[각주:1]이다.

    감독: 조나단 드미 Jonathan Demme

    벤: 덴젤 워싱톤 Denzel Washington
    레이몬드: 리브 슈라이버 Liev Schreiber
    엘리노어: 메릴 스트립 Meryl Streep
    톰: 존보이트 Jon Voight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화려한 캐스팅으로 일단 압도한다. 만츄리안 글로벌이라는 초국가적 기업의 거대음모 속에 희생되어가는 가치들을 깨닫고 그것을 분쇄하기 위한 한 병사의 이야기라고 간단히 말할 수도 있겠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다. 걸프만 전쟁. 데저트 스톰등 미국이 정의를 수호한답시고 저지른 만행 속에는 상처입고 고통받는 병사들이 있다. 만약 그 병사들이 어떤 음모에 이용되어진다면,...

    덴젤워싱턴과 메릴스트립의 존재감이 없었다면 극의 재미가 많이 떨어졌을 것이다. 언젠가부터 이런 거대음모이야기와 그에 부딛히는 개인, 즉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을 영화에서 너무 많이 접하게 됨으로써 관객들은 점점 무감각해지고 더 강렬한 자극과 반전을 원하게 되는 것 같다. 충분히 재미있는 내용이지만 너무 익숙하다는 문제일뿐이다.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를 지켜보는 재미가 솔직히 더 크다. 나이가 든 훌륭한 배우들이 많기는 하지만 세월이 지날 수록 그 포스가 강해지고 또 유지하는 배우는 그렇게 많지 않은데 그것을 실증하는 대표적인 배우가 메릴스트립이 아닐까 싶다.(남자배우들은 꽤 많다. 잭니콜슨, 알파치노...). 그리고 덴젤워싱턴이야 흑인배우로서 이런 위상을 가진 배우는 거의 없지 않은가? 뭐 그것만으로 만족할 수 있는 영화이다.

    영화의 내용에 비추어 생각해보면 음모이론 속에 항상 존재해오는, 보통 'The Company'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는 조직이 드디어 이름을 갖추었다고나 할까? 만츄리안 글로벌이란 이름을 가진 거대조직은 음으로 양으로 자본을 움켜지고 세계의 모든 권력을 조정해 왔는데, 그들이 더 많은 것을 원하면서 초강대국 미국의 지도자를 자신들의 꼭두각시로 만들려고 한다는 것이다. 세뇌와 기억의 조작등을 통한 인간행동의 조종이 가능하다면 그들은 더 많은 부와 권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극 중에 나오는 'Cash is the King'이라는 말은 자본주의의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돈이 왕을 만들고 왕이 돈을 만드는, 그들만의 게임 속에서 우리는 알게 모르게 세뇌당하고 조작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그들의 게임은 엄연히 존재하고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우리는 이미 그 존재를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 작금의 정치판을 보면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우리가 진실이라고 알고 있는 것들이 왜곡 조작되어진 정보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모든 것이 진실이 아니라면 어떨까?라는 생각도 해본다. 이러한 상황들은 공각기동대의 SAC(Stand Alone Complex)KLoG를 유발하게 하는 전뇌화된 세상이나 Matrix의 세계속에서 갇혀 있는 모습들의 현실적인 모습일 수도 있지 않겠는가? 이런식으로도 상상해보고 확장해 볼 수도 있겠다.

    영화에서는 피상적인 부분의 제거와 은폐로써 딱 부러지는 결론을 내리지 않는다. 짐작은 하지만 어떻게 해 볼 여지가 없는 막막함만을 보여준다. 남은 것은 상처받은 자뿐이며, 살아남은 자의 슬픔만을 느낄 수 있을 뿐이었다. 보는 즐거움은 있었으나 개운치 않은 답답함을 남겨주고 있다.

    1. 이 영화는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본문으로]

    댓글

Designed by Tistory.